HTTP를 사용하는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는 네트워크 상에서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일반적인 방법이며 이 아키텍처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서 역할을 분담하여 각각의 역할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클라이언트
사용자가 요청을 생성하고 보내는 프로그램
- 웹 브라우저는 HTTP 요청을 생성하고 보낸다.
 - 클라이언트는 서버에서 요청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적절한 방식으로 해석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서버
클라이언트 요청에 응답하는 프로그램
서버는 요청을 받아들이고 적절한 데이터를 찾은 다음,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을 보낸다.
- 서버는 웹 페이지를 반환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HTTP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
HTTP 요청은 클라이언트에서 생성되며, HTTP 응답은 서버에서 생성된다.
HTTP는 웹을 비롯한 인터넷 상의 많은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된다.
HTTP를 사용하는 클라이언트-서버 통신과 API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에서 데이터를 요청하고, 서버는 데이터를 반환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클라이언트-서버 통신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서버가 클라이언트에 응답하는 프로세스
- HTTP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생성하고 서버가 응답을 생성한다.
- 요청과 응답은 일련의 메시지로 구성된다.
 - 요청 메시지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보내는 메시지이며, 응답 메시지는 서버가 클라이언트에 보내는 메시지이다.
 
 
API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 API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에서 데이터를 요청하고, 서버가 데이터를 반환하는 방법을 정의한다.
-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는 서버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REST API
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는 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구현된 API이다.
REST API는 자원을 표현하고, 자원에 대한 상태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HTTP 메서드(GET, POST, PUT, DELETE 등)를 사용하여 자원을 조작하며, URL을 사용하여 자원을 식별한다.
비전공자를 위한 이해할 수 있는 IT 지식 [3장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서버 & 4장 API와 JSON]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서버 네트워크 네트워크란? 분산되어 있는 컴퓨터를 통신망으로 연결한 것 LAN (Loc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 망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LAN 보다는 크고 WAN 보다는 작은 규
nninzoo.tistory.com
- 자세한 정리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 TIL [HTTP - 내가 만든 Cookie] #23.03.22 (0) | 2023.03.22 | 
|---|---|
| TIL [Git과 버전 관리 시스템 - Git] #23.03.20 (0) | 2023.03.20 | 
| TIL [리눅스 운영체제 - 시스템 모니터링] #23.03.14 (0) | 2023.03.14 | 
| TIL [리눅스 운영체제 - bash 스크립트] #23.03.13 (0) | 2023.03.13 | 
| TIL [리눅스 운영체제 - 프로세스와 서비스 관리] #23.03.13 (0) | 2023.03.13 | 
